파워의 선택 어떤 것이 중요할까.
1편 못 보신 분들은 http://inno77.tistory.com/29
파워 선택의 중요성과 호환성 (규격)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출력
1.1 자신에게 맞는 파워 출력
먼저 자신에게 필요한 출력이 어느 정도 되야하는 지 알아야 합니다.
http://support.asus.com.tw/PowerSupplyCalculator/PSCalculator.aspx?SLanguage=ko-kr
위 사이트를 통해서, 자신이 필요한 정격출력이 대략 어느 정도인지 알아봅니다.
사이트외에도, 자신의 부품을 검색하면 소비전력이 어느 정도인지 나오니, 각각 계산하는것이 제일 좋습니다.
*그냥 간단히 볼 사람만 보고 '참고' 정도만 하시면 됩니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합니다.
1.2 효율 (받은 전력으로, 얼마나 쓸만큼의 전력을 만들 수 있는지)
출력을 보셨으면, 이 파워가 얼마 만큼 효율성이 있는 지 봐야 합니다.
여기서 효율이라는게, 파워 서플라이 자체가 AC 전력에서 DC 전력으로 바꿔서 공급해주는 장치인데
이 바꾸는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합니다.
그리하여, 변환과정에서 손실이 적을 수록 효율이 좋다고 할 수 있는데
(만약 500w 전력을 받아서, 200w 의 손실이 발생한다면 그만큼 낭비가 발생하는거죠)
이 손실이 발생하면, 발열이 생기기 됩니다. 그러면 파워에 어느정도 수명단축에 영향도 끼치고,
발열이 난 만큼 쿨링을 해줘야 되기 때문에 소음도 발생하게 됩니다.
출력 선택에 대해서 위에서 대충 넘어갔는데, 이 선택이 중요합니다.
400W 의 파워가 있습니다. 그런데 자신이 소비 하는 전력이 풀로드시 200W 라고 칩시다.
그럼 50% 부하가 걸리는거죠.
이 부하에 따라서 효율이 달라 집니다. 보통 50% 에서 ~ 80% 정도의 부하가 걸릴 경우 효율이 제일 좋다고 합니다.
50% 이하나 80% 이상의 부하가 걸리면 효율이 떨어진다는 말이죠.
* 자신이 소비하는 전력이 풀로드시 200W 인데,
효율 구간 (50~80정도)를 넘어서는 정격 파워를 선택 (600W) 한다면
부하가 33% 일때는 50% 이하의 부하이므로 효율이 더 떨어집니다.
따라서, 자신 보다 과하게 정격출력을 잡으면, 오히려 효율이 더 떨어지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게 자신이 얼마나 프로그램을 돌리는 지 잘 따져서, 정격 출력을 잡아야 합니다.
http://www.enermax.outervision.com/
위 사이트에서 자신의 부품으로 얼마나 '전력을 소비' 하는지 알아보고, 소비전력과 자신의 상황에 맞게 출력을 선택해야 합니다.
1.3 뻥파워에 관해서
믿을 수 있는 제조사를 사야 자신이 선택한 출력을 낼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한 효율과 뻥파워는 다른 부분입니다.
뻥파워라는 것은 정격출력에서 나타난 출력을 파워가 실제로 그 출력을 못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자신이 딱 정한 출력에 맞게 정격출력을 선택했는데, 이게 그 출력을 못낸다면.....
(전력을 300W를 계속 사용해야 하는데, 그리고 거기에 맞게 정격 출력을 선택했는데,
파워가 300W 를 내지 못한다면 그 만큼, 각 부품이 제 성능을 내지 못하고, 고장이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지요.
예를 들어 힘을 내야 하는 운동 선수가 제대로 먹지 못하고, 시합에 나간다면 굉장히 무리가 가겠죠?)
그래서, 뻥파워를 피해야 하는거죠.
뻥파워 구별 방법이란건 없어서, 믿을 수 있는 인지도 있는 회사를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같은 회사라도 뻥파워가 있을 수 있으니 리뷰나 테스트 한것을 유심히 살펴 봐야 합니다.
2. 고주파 (소음부문)
이 고주파 부분도 중요합니다. 예민한 분이면 더더욱 중요합니다.
고주파가 발생하면 아주 신경 쓰입니다. 간혹 고주파 때문에 머리 아프신 분도 계실껍니다.
당연히 고주파가 발생하는것은 파워가 문제가 있어서 라고 100% 장담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되도록 줄이는게 좋겠죠?
구분하는 방법은 .. 딱히 없습니다. 실제로 써보는게 가장 정확하죠. (리뷰나 필테 보시는게 좋습니다.)
그래서 조금이나마.. 구매하기전에 고려 하셔야 할 부분이 EMI 필터의 유무 입니다.
사실 이게 없는 제품이 거의 없습니다. EMI 필터가 없다면 아예 배제 하시면 됩니다.
설명은 그림에 있다시피, 노이즈 전자파 억제 입니다. 또한 내부 부품 손상방지의 역할도 하지요.
또한 대부분 파워 PFC 회로를 액티브를 사용하는데, 패시브 보다는 고주파가 좀 더 발생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액티브,패시브 간의 고주파 차이보단
액티브가 '효율' 과 '안정성'에 앞선다는 점에서 봤을땐, 굳이 패시브로 선택하실 필요는 없는듯 합니다.
3. 캐패시터 (콘덴서)
파워의 '안정성'에 있어서 콘덴서도 중요한 부품입니다.
캐패시터는 안정적인 전기 공급을 위해 전기를 저장해두는 곳입니다.
이게 싸구려 제품을 쓴 탓해 버티지 못하면 터지게 되어 망가지고 맙니다.
따라서, 믿을 수 있는 제조사의 캐패시터를 쓰는지 확인 해봐야 겠지요.
많이 쓰는 캐패시터 제조사는 일본,대만,한국 정도가 있는데
보통 일본제가 고급형이라고 합니다.
또한, 더 높은 온도에서 버텨야 좋은 캐패시터라고 할 수 있겠죠. (보통 105 도가 고급형이라고 합니다.)
밑은 캐패시터 제조사 들입니다.
Sanyo , Rubycon , 니치콘, 후지쯔, 파나소닉, 캐미콘
Samxon, Capxon, TeaPo, Asia'x
삼화, 삼영 (한국)
등등
이 캐패시터의 부분에선 필자가.. 합리적인 캐패시터 선택이나, 용량 선택은 자세히 모르니 아시는 분은 댓글로 추가 부탁드립니다.
또한, 솔리드와 전해질 캐패시터는 메인보드 2편에서 알아보겠습니다.
4. 출력전압
정격 620 W 제품
파워 출력에는 +3.3 V , +5V, +12V 가 있는데
12V: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와 같이 주요 부품에 사용하는 전압입니다.
이 12V 부분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5V : 주로 CD-ROM 이나 저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3.3V : USB 같은 자잘한 곳에 사용 됩니다.
여기서 12V 부분에서 전류의양 A (암페어)가 중요합니다.
12V 출력은 주로 쓰이는 CPU 그래픽카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것이 부족하게 되면, 역시 다운 되거나
제 성능을 발휘 하지 못하겠죠.
그래서, 12V 의 암페어가 적당히 높은 것이 좋은 제품입니다.
위의 스펙 테이블로 예를 들어 봅니다. (정격 620 W 의 파워 입니다.)
*12V 1 의 암페어가 24A
12v 2 의 암페어가 24A
V (전압) X A (암페어) = W(출력) 입니다.
V1 : 12 X 24 = 288 W
V2 : 12 X 24 = 288 W
합 = 576 W
정격 620 W 제품에서 12v 출력이 차지하는 출력이 576W 으로 아주 괜찮은 편이죠.
5. 보호 회로
파워의 안정을 책임지는 보호 회로가 있는지 확인 하셔야 합니다.
OPP (과전력 보호)
SCP (단락 보호)
OVP (과전압 보호)
UVP (저전압 보호)
SCP (쇼트방지)
6. 하즈웰 CPU 지원 파워
하즈웰 CPU 출시로, 하즈웰 CPU로 구입하시는분은
지원 하는 파워를 선택해야 안정적인 구동을 할 수 있습니다. (4세대 CPU만 해당)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 합니다.
http://www.intel.com/reseller/psu_selector/
이렇게 여러가지 사항이 있는데 요약하자면
1. '자신에게 맞는' 정격출력을 선택하자.
2. 효율이 좋은지 확인 해보자
3. 고주파 부문과 캐패시터를 확인하자.
4. 12V 전압 출력이 비교적 높은 편인가?
5. 보호회로와 하즈웰 지원 여부
이렇게 설명 했지만, 사실 이런거 보단 '믿을 수있는 브랜드, 인지도 있는 제조사' 가 가장 중요합니다.
2013/05/18 - [컴퓨터 본체/조립 컴퓨터 정보 - 부품 선택] - 컴퓨터; PC 의 구성 및 부품 선택 하기 - 조립 가이드
2013/05/12 - [Windows; 윈도우즈/유용한 정보들] - 내 컴퓨터 사양 보는 법 (CPU-Z 다운)
2013/05/18 - [컴퓨터 본체/파워 서플라이] - PC의 심장 파워 서플라이
2013/05/18 - [컴퓨터 본체/ETC] - 조립 컴퓨터 견적 사이트 : 조립 컴퓨터 구입 사이트
'컴퓨터 본체 > 파워 서플라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의 심장 파워 서플라이 (0) | 2013.05.18 |
---|